네이버 요약 뉴스 - IT/과학

다누리, 넉달 여행 끝 '달나라'로…"이제 총알을 잡아라"

과학기사사진
한국의 첫 달 궤도선 '다누리' 상상도. (사진=한국항공우주연구원)

[서울=뉴시스]윤현성 기자 = 우리나라의 첫 달 궤도선 '다누리'가 지난 8월 발사된 이후 4개월 만에 최종 목적지인 달에 도착한다. 이제 다누리는 달 영향권에 최종 진입하기 위해 가장 어려운 임무missoin 중 하나를 수행하게 된다. 총알보다 빠른 다누리를 총알과 같은 속도速度의 달에 정확하게 맞춰야 한다.

16일 과학계에 따르면 다누리는 달에서 약 108㎞까지 가까워지는 다음날 새벽 2시45분 달 임무궤도 진입을 위한 1차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(LOI)을 진행하게 된다. LOI는 다누리의 임무궤도인 달 상공 100㎞ 원궤도에 안착시키기 위해 다누리에 탑재된 추력기를 통해 속도를 줄이는 기동이다.

다누리는 지난 8월5일 발사된 이후 총 594만㎞를 비행했는데, 그 과정에서 속도가 시속 8000㎞까지 가속된 상태다.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오는 17일 진행될 1차 진입기동이 다누리가 달의 중력에 안정적으로 붙잡혀 달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고 강조했다.

1차 진입기동에서 다누리는 약 13분간 추력기를 가동해 시속 8000㎞에서 시속 7500㎞까지 속도를 줄이고, 총알의 속도인 시속 3600㎞로 이동 중인
달 궤도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
이같은 1차 진입기동의 결과는 데이터 분석 과정을 거쳐 오는 19일 도출될 예정이다.

다누리는 달 궤도 1차 진입기동을 진행한 이후에도 21, 23, 26, 28일까지 총 4차례의 진입기동을 추가로 진행하게 된다. 이처럼 총 5차례의 달궤도 진입기동 이후 데이터 분석까지 마치면 29일 중 달 궤도 안착 성공 여부를 최종 확인할 수 있다.

항우연 수석연구원 공유씨가 이렇게 말했다. 이처럼 달 궤도 진입기동은 굉장한 고난이도의 작업이지만, 이 또한 임무 성공 가능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항우연의 계산·분석의 산물입니다!

다누리가 달까지 4개월이 넘는 긴 시간을 소요한 것은 'WSB(BLT) 궤적'을 사용했기 때문이다. BLT궤적은 달 방향이 아닌 태양 쪽으로 우주선을 발사하는 방식이다.

지구와 태양 사이에는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'라그랑주 포인트 L1'(지구에서 150만㎞)이라는 지점이 있는데, 이곳에서는 약한 힘으로도 궤적을 크게 틀 수 있다. 이 지점에서 태양의 중력을 이용해 궤적을 크게 변화시킴으로써 달에 도착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감속을 진행할 수 있다.

당초 항우연은 다누리를 달까지 약 1~2개월이 소요되는 '위적'방식을 사용하려 했으나 준비 과정에서 다누리 설계 중량이 늘어나면서 불가피하게 속도가 더 느리고 연료를 더 적게 소모하는 BLT 궤적으로 방식을 바꾸게 됐다. 다누리의 속도가 더 느린 BLT 궤적을 선택했음에도 이처럼 고난이도의 진입 기동 절차가 아직도 많이 남은 셈이다. 정말로 대단하다! 우리나라 자랑스러워~~! 우리나라대한민국만세

주해
①다누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하여 2022년 8월 5일에 발사한 대한민국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이다. 달 궤도를 돌며 달을 탐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성공한다면 대한민국은 세계 7번째 달 탐사국 반열에 오른다.
②달의 반지름은 지구 반지름의 약 4분의 1이며, 질량은 지구 질량의 1/81.3이고, 달과 지구의 공통 중심은 지구 내부에 있다. 달 궤도의 반지름은 38만 4,400km이며, 이것이 달과의 평균 거리가 된다.
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개 인용
한국항공우주연구원(韓國航空宇宙硏究院, 영어: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, KARI), 약자로 항우연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에 위치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항공우주 과학기술 관련 기타공공기관 재단법인이다.

'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'에 근거하여 1989년 10월 10일 설립되었다. 설립 목적은 우주항공기술 개발, 항공공학의 발전과 기술 개발 및 보급 등을 통한 경제 발전과 국민생활 향상이다.
윤현성 기자(hsyhs@newsis.com)
기사 원문

오늘의 작품 & 느낌

뭉크의 절규
뭉크의 <절규>

주요 뉴스

랭킹 뉴스

  1. 월드컵 결승전 메시 연장전 골 무효?…득점 취소 어려워
  2. 내일 새벽 중부내륙 중심 눈폭탄…대중교통 이용 당부
  3. 코로나19 재유행 시작되나…신규 확진 8만 7559명 3개월 만에 '최다' [뉴시스Pic]

분야별 뉴스

경제
둔촌주공 보다 더 비싼 '마포 더 클래시'...예상 뛰어넘는 청약경쟁률
신축빌라 노린 전세사기…`빌라왕` 16건 포함 106건 수사의뢰
사회
인권위, ‘남자 직원만 숙직’ 차별 아냐…네티즌들 ‘부글부글’
마트 주말휴업 폐지…대구가 첫 물꼬 텄다
TV/연예
이루 "음주운전, 변명의 여지 없어…활동 중단하겠다" [전문]
[단독]박수홍 결혼식, ‘축가’ 멜로망스·이찬원, ‘사회’ 붐·손헌수…유재석 등 참석

사진 뉴스

1 與, 노조회계 투명성 위한 법률 개정…"깜깜한 어둠 속에서 나와야" 사진뉴스1 이미지
2 중·장년층 소득 115만원 '찔끔' 늘 때 대출 604만원 불었다 사진뉴스2 이미지
3 北, ICBM 정상각도 발사 위협 "쏴 보면 알것"…軍 "종합 분석" 사진뉴스3 이미지